뭐라도 하는 블로그

모둠회밥!

ㄱ.공부

Broker(브로커) Pattern이란?

CurrumpawLobo 2022. 10. 20. 11:28
728x90

관련 코드를 보다가 처음 보는 개념이여서 찾아보게 되었다. 뭔가 브로커라고 한다면 드라마에서나 나오는 그런 이미지밖에 생각안나다보니 기억에 남아서 따로 적게 되었다.

1. 브로커 패턴이란?

여러 군데로 분산된 컴포넌트들을 호출하려고 할 때 클라이언트의 요청 값을 분석하여 서버 컴포넌트에 전달하고 그 결과값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. 이렇게 원격 서비스 실행을 통하여 분산된 컴포넌트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된다. 

2.예시

브로커가 각 각 분산된 컴포넌트를 호출해주는 연결다리를 해 주고 있다. 서버는 자신의 기능을 브로커에게 넘겨주어, 클라이언트가 브로커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면 브로커는 클라이언트를 자신 서비스에 넘겨준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장점과 단점

장점

  • 컴포넌트간의 위치 투명성을 제공
  • 플랫폼 간의 Portability(이식성) 제공함
  • 서버 다른 시스템의 연동을 용이하게 함
  • 재사용 컴포넌트 확보에 용이

단점

  • 성능에 대한 불이익
  • 장애 대처율이 떨어짐
  • 테스트 디버깅의 복잡함 (서버, 클라이언트 연동 시에) - 분산 환경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많지 않음

4. 참고 및 출처

이걸 뭔가 사용을 해보거나 예시를 보면 좋을 것 같은데... 대략적인 개념은 이해할 것 같은 디자인 패턴이였다. 언제 사용할 기회가 된다면 그 때 복습하기로 하고 도망!

https://blog.naver.com/dvvb96/60019634763

 

SW Architecture Pattern _ Broker Pattern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Broker Pattern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.

blog.naver.com

https://blog.sengwoolee.dev/11

 

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- 브로커 패턴(Broker Pattern)

브로커 패턴은 분리된 컴포넌트들로 이루어진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된다. 이 컴포넌트들은 원격 서비스 실행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다. 브로커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조정

blog.sengwoolee.dev

https://itwiki.kr/w/%EB%B8%8C%EB%A1%9C%EC%BB%A4_%EC%95%84%ED%82%A4%ED%85%8D%EC%B2%98_%EC%8A%A4%ED%83%80%EC%9D%BC

 

IT위키

IT에 관한 모든 지식. 함께 만들어가는 깨끗한 위키

itwiki.kr

 

728x90